알고 싶지 않은 잡역사

한국 은행 경제 전망 보고서(2023년 5월)

부알_못 2023. 5. 30. 07:55
728x90

ㅁ 국내경기는 IT경기 위축 심화, 중국 리오프닝 효과 지연 등으로 부진을 이어가다가하반기 이후 점차 나아지겠으나 회복 속도는 당초 예상보다 완만할 전망이다.

 

  소비자물가는 2월 전망에 대체로 부합하는 흐름을 나타낼 것으로 예상되지만 근원물가의 경우 양호한 서비스수요 및 고용 흐름, 누적된 비용상승압력의 파급영향 등으로 당초 예상을 상회할 전망이다.

 

  향후 전망경로상에는 중국경제 회복양상 및 IT경기 향방, 국내외 금융여건, 미·중갈등 전개양상 등과 관련한 불확실성이 큰 상황이다.

 

 1. 글로벌 경제는 금년초 선진국의 서비스 중심 양호한 실적, 중국의 리오프닝 등으로예상보다 양호한 성장흐름을 나타내었으나 주요국의 통화긴축 지속과 은행부문 불안 등의 영향으로 성장세가 점차 둔화될 것으로 예상된다.

 

 2. 금년 국내성장률은 1.4%로 지난해(2.6%)보다 크게 둔화될 것으로 예상되며, 이는 2월 전망(1.6%) 대비로도 다소 낮은 수준이다.

 

 3. 금년중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지난 전망(3.5%)에 부합할 것으로 보이지만 근원물가 상승률은 2월 전망치(3.0%)를 상회(3.3%)할 것으로 예상된다*

 

 4. 금년 경상수지 흑자규모는 지난 전망수준(260억달러)보다 소폭 줄어든 240억달러로 예상된다. 

 

 5. 금년 취업자수 증가규모는 2월 전망(13만명)을 상당폭 상회하는 25만명으로 예상된다

 

 6.  향후 중국경제 회복 양상, 선진국 금융불안 등과 관련한 불확실성이 큰 점을 고려하여다음과 같이 대안적 시나리오alternative scenario를 분석하였다.

 가.  ‘중국경제의 리오프닝 모멘텀이 강화’되는 경우<시나리오 1> 對중·IT수출과 중국인 방한객이 baseline보다 증가하고 에너지·원자재 가격도 상승하면서 금년 국내 성장률이 1%대 중반, 물가상승률은 3%대 후반으로 높아지는 것으로 추정된다.

  나.  ‘중국경제의 회복이 지연되고 선진국 금융불안이 확대'되는 경우<시나리오 2> 반대로 對중·IT수출 및 관광객 감소, 금융시장 변동성 확대, 국제유가 하락 등으로 금년 성장률이 1%대 초반, 물가상승률은 3%대 초반까지 낮아질 가능성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