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민 A씨는 “문재인 정부 때 메콩강 유역 5개국(캄보디아·라오스·미얀마·태국·베트남) 정상이 참석하는
‘한·메콩 정상회의’가 열리면서 아세안 국가들 내부에서 ‘한국이 우리를 존중해준다’는 분위기가 형성됐다”며
“지금은 교민이 봐도 우리 정부가 아세안을 무시한다는 생각이 든다. 아세안이 이를 모를 것 같은가”라고 지적
G7은 중국에 대한 견제, 우려를 분명히 하며 막을 내렸다. 동시에 새로운 가능성을 열었다. 미국을 중심으로 한
자유·민주주의 표방하는 국가들이 중국과 협력하리라는 전망이다.
이번 G7은 국제사회가 회색지대임을 다시 한 번 확인하는 계기가 됐다. 주요 국가들 사이에서
한국만 ‘나 홀로 색깔 자랑’을 하고 있는 것은 아닌지 돌아봐야 한다는 지적이 나온다.
윤석열 정부의 외교 전략, 원칙이 ‘미국’ 외에 없다는 지적을 받는 사례는 또 있다. 지난해 11월, 캄보디아 프놈펜에서 열린 아세안 정상회의의 최대 이벤트는 윤 대통령의 ‘한국판 인도·태평양 전략’ 발표였다.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정상회의에는 한덕수 총리가 참석했다. 아세안 국가들은 대부분 미국, 중국 모두와 협력관계를 유지하고 있다. 아세안 한복판에서 미국, 일본을 제외한 국가들이 불편할 만한 전략을 발표한 것은 확신에 차 있거나 무신경함을 뜻한다. A씨는 “문재인 정부 때 메콩강 유역 5개국(캄보디아·라오스·미얀마·태국·베트남) 정상이 참석하는 ‘한·메콩 정상회의’가 열리면서 아세안 국가들 내부에서 ‘한국이 우리를 존중해준다’는 분위기가 형성됐다”며 “지금은 교민이 봐도 우리 정부가 아세안을 무시한다는 생각이 든다. 아세안이 이를 모를 것 같은가”라고 지적했다.